돈되는무료정보

근로기준법 안 지키는 대표 사례 모음

pandang 2024. 1. 21. 15:16
반응형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으로, 기업은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는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다음은 근로기준법을 자주 어기는 사례 10가지입니다.
1.근로계약서 미작성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를 채용할 때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2.임금체불(계약서상 정해진 날짜, 퇴직금 퇴사 후 14일 이내 지급 이후 가산금 부여, 지연일정 미동의 시 노동부진정)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임금체불은 불법입니다.

3.초과근무 강요 (정해진 시간 초과 / 야간22시 이후 통상임금의 1.5배)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초과근무를 강요할 수 없으며, 초과근무를 할 경우에는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4.휴일근무 강요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휴일근무를 강요할 수 없으며, 휴일근무를 할 경우에는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 5.부당한 대우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부당한 대우를 할 수 없습니다.
    6.성희롱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성희롱을 할 수 없으며, 성희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7.차별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를 성별, 연령, 인종, 종교 등으로 차별할 수 없습니다.
    8.근로자의 개인정보 보호 위반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합니다.
    9.산업재해 예방 조치 미흡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0.기타
    •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경우, 근로자는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기업은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여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근로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기록 증거주의에 입각한 문서나 문자로 증빙을 남겨야 적절히 체불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