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무료정보

근로기준법 안 지키는 대표 사례 모음

by pandang 2024. 1. 21.
반응형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으로, 기업은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는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다음은 근로기준법을 자주 어기는 사례 10가지입니다.
1.근로계약서 미작성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를 채용할 때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2.임금체불(계약서상 정해진 날짜, 퇴직금 퇴사 후 14일 이내 지급 이후 가산금 부여, 지연일정 미동의 시 노동부진정)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임금체불은 불법입니다.

3.초과근무 강요 (정해진 시간 초과 / 야간22시 이후 통상임금의 1.5배)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초과근무를 강요할 수 없으며, 초과근무를 할 경우에는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4.휴일근무 강요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휴일근무를 강요할 수 없으며, 휴일근무를 할 경우에는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 5.부당한 대우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부당한 대우를 할 수 없습니다.
    6.성희롱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에게 성희롱을 할 수 없으며, 성희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7.차별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를 성별, 연령, 인종, 종교 등으로 차별할 수 없습니다.
    8.근로자의 개인정보 보호 위반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근로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합니다.
    9.산업재해 예방 조치 미흡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0.기타
    •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경우, 근로자는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기업은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여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근로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기록 증거주의에 입각한 문서나 문자로 증빙을 남겨야 적절히 체불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